중국이 글로벌 환율전쟁을 기정 사실화했다. 중국은 11일 위안화 가치를 1.86% 평가절하한 데 이어 12일에도 추가로 1.62% 평가절하했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자국 환율을 조정해 경기부양에 나섬을 못 박은 셈이다. 

그동안 수출경쟁력 약화를 감수하고서라도 '강한 위안화'를 통해 위안화의 국제화를 추진하던 중국 정부가 과도한 수출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위안화 절하' 카드를 꺼내들었다는 평가다. 



엥? 이거 완전 환율전쟁인데?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대폭 끌어내린 이유를 최근 들어 심화되고 있는 수출 부진 때문으로 보고 있다. 지난 8일 중국 해관총서가 발표한 중국의 7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7.1%나 줄었다. 중국 정부의 7% 성장 목표 달성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

수출에 의존하는 중소 제조업체들의 경영난이 심화되고 

금융권에까지 위기가 전염될 조짐이 보이자 정부가 전격적으로 위안화 절하 카드를 꺼내 들었다. 

"


중국의 수출 급감과 경기 부진은 곧 세계적인 수요 둔화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글로벌 환율전쟁이 촉발되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즉 다른 신흥국들도 수출 부진을 막기 위해 경쟁적으로 자국 통화가치 끌어내리기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미국은 금리인상을 해도 2~3년 전 부터 전 세계에 공포가 우선이다. 글로벌 시장과 소통하며 조절하며 당긴다. 하지만, 중국은 그냥 '내 맘대'로 내리고 올리는게 문제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누군가가 위안화를 소유하려 하겠나, 일전에 러시아가 그랬으니. 중국 공산당이 무너지지 않는 한, 중국은 미국을 넘어설 수 없는게 중국의 딜레마로 남을 수 밖에 없다.



한국 금융당국 피살기 '모니터링' 기술 발동~캬 개꿀!


정부는 중국의 기습적인 위안화 평가절하 조치로 외환ㆍ금융시장 불안요인이 커짐에 따라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나섰다. 

외환당국은 정부가 과도한 경상수지 흑자폭을 줄이기 위해 해외투자활성화 방안을 내놓은 뒤 원ㆍ달러 환율이 상승하는 등 실질실효환율의 절상폭이 둔화되고 있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 하고있다.


일본엔화의 평가절하 합의 후 40% 가까이 하락하여 한국의 수출이 한계에 이르던 차에 중국의 돈지랄로 한국 수출문제가 해결 되게 생겼다. 헬조선은 역사적으로 그렇듯이 항상 강대국의 눈치 때문에 스스로 환율을 조정할수 있는 힘이 없다. 그런데 중국이 이 상황을 못견디고 긴급히 조정을 하며 환율을 건드려 자연스럽게 한국의 원화도 평가 절하하게 생겼으니 조금 만 기다리면 수출 기업들 좋아지게 되는 방향이 나타날 것이다. 원자재 수입국인 우리 한국은 경제의 90%가 수출로 이루어지는 구조니까. 


환율의 영향력이 막대하니까... 문제는 등살이지..


[편집자 주]

- 일단 위안화 올린다고 연초에 위안화 연계 계좌 트신 삼춘들 목숨줄 단디 잡으세요.




+ Recent posts